코스피 3000P 가능한 이유는?
4월 초 미국 관세 부과로 인해 우리나라 코스피 지수는 2284P까지 내려갔습니다. 하지만 점점 완화 분위기가 되면서 현재 다시 단기 고점까지 올라왔으며, 다시 잠시 소강상태입니다. 코스피 지수가 다시 3000P 돌파하기 위한 전제 조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충분히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기업 이익 증가(EPS 증가)
현재 코스피 PBR은 0.89배 수준입니다. 2021년 코스피 지수가 3300P에 근접했을 때 PBR이 1.3배였습니다. 당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유동성에 의한 투자 심리로 인한 상승이었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기 위해선 결국 상장 기업의 EPS가 증가해야 합니다. 당시 EPS 증가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올랐습니다. 이에 대비 현재 EPS는 올해 하반기 갈수록 반도체 중심으로 더 상승할 여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신증권은 2025년 코스피 상단 3100P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우리나라 시장은 코스피를 이끄는 TOP2 종목이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등의 반도체입니다. 올해 이들의 합산 손익 개선 효과는 4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낙수효과로 인한 이들의 협력 업체 역시 실적 증가 전망합니다. 이럴 경우 충분히 지수를 상승시키면서 전고점 돌파까지 가능하다고 판단합니다.
2. 미국 금리 인하 기대 및 유동성 확대
미국의 관세 이슈가 어느정도 완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 유동성이 확보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지수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코스피 밴드 기존 2300~2750P에서 상향 조정하였으며, 이런 글로벌 움직임에 따라 더 상향 조정할 가능성 시사했습니다.
FED의 금리 인하 또한 좋은 촉매제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4.5BP입니다. 미국에 대한 관세 이슈가 더 완화되지 않고, 현재 수준으로 지연된다면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금리 인하의 가장 좋은 트리거가 될 것입니다.
현재 7월 및 9월 금리인하 시작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연말까지 적어도 2~3회 정도 하리라는 것이 중론이며, 그렇다면 금리 인하로 인한 투자 심리 회복으로 증시는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3.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
대선이 불과 2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내부적 문제 역시 투자 심리 다운에 한몫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 새 정부 역시 지원 정책 및 경기 부양책 등 증시 상승 지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특히 여야 불문하고, 친환경 정책(신재생)에는 호의적입니다. 특히 원전의 경우 우리나라 기술에 글로벌 TOP 3이며 이에 대한 지원 및 보조금 등을 감안한다면 우리나라 증시를 이끌 수 있는 섹터가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외인 자금 유입도 증가할 것이며, 이런 선순환으로 인해 다른 신재생 사업까지 확대된다면 충분히 증시 상승 요인 가능합니다.
4. 반도체 및 바이오 등 시총 상위 섹터 성장 전망
1) 반도체
메모리의 경우 이미 4월부터 DRAM 및 NAND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삼성, SK하이닉스, 마이크론 그리고 중국의 양쯔 메모리(YMTC) 등 주요 top tier가 이미 10% 이상 판매가 상승했으며, 실제 판매가 역시 상승 중입니다. 즉, 메모리 반도체 저점은 이미 찍었다는 판단이며 메모리 교체 수요가 내년부터는 본격화되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입니다.
그리고 비메모리 역시 TSMC 및 엔비디아 중심으로 HBM 등 지속 수요가 증가추세입니다. 특히 AI 관련 메모리는 이제 시작 단계로 특히 SK하이닉스는 2024년 외국인 순매수 1위 종목으로 우리나라 AI 반도체 핵심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적어도 2030년까지 AI 메모리 수요는 매년 20% 이상 증가할 전망입니다.
2) 바이오
반도체가 코스피를 이끈다면 코스닥은 바이오가 이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최근 바이오 트렌드는 비만 치료제를 포함한 플랫폼 및 신약 개발에 따른 글로벌 수주 증가입니다.
펩트론, 에이비엘바이오 등은 최근 매수세 상위 종목에 이름 올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셀트리온 그룹 및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의 바이오시밀러 역시 꾸준히 해외 시장에서 실적 내고 있습니다.
바이오 전체 섹터 시가 총액은 2020년 대비 28% 증가했으며, 2030년까지 매년 18.3% 증가 예상합니다. 이에 따른 바이오 기업 시총 증가 및 지수 상승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3) 이차 전지
최근 2년 동안 최악의 섹터라고 하면 바로 이차 전지 및 전기차 섹터입니다. 금리 인상 시기로 인한 소비 심리 둔화 및 Chasm(캐즘) 때문입니다. 하지만 올해 하반기 이후 점점 좋아지리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적어도 현재보다 더 하락할 가능성이 없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입니다.
최근 KRX 이차 전지 TOP10 지수는 최근 1년간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판매량 증가로 반등 가능성 제기되고 있습니다. 올해보다 내년 그리고 내년보다 내후년이 더 기대되는 섹터가 바로 이차 전지입니다.
셀(Cell) 3사(삼성바이오로직스/LG에너지솔루션/SK이노베이션)는 ESS 사업도 병행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수혜가 될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 특히 삼성SDI는 올해 1분기 1조 6000억 투자하면서 연간 총 6조 5000억 원 투자 계획 발표했습니다. 전기차 피해를 ESS 사업으로 만회할 수 있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합니다.
정리하면... |
이렇게 우리나라 코스피 지수가 3000P 돌파 가능한 이유 및 전제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반도체, 신재생 등 지수 주도 섹터의 실적 개선과 외인의 투자 증가, 그리고 대외 환경의 안정 등의 이유입니다. 동시에 미국의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국내 정치 변동성으로 인한 원/달러 환율은 다소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 큽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올해 '상저하고' 흐름이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리고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 이후 본격적으로 상승세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에 저점 매수 기회 활용한다면 내년 및 내후년에도 좋은 성과 있으리라 예상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전망!(feat. 반도체 사야 하는 이유 및 관심주 소개!) (0) | 2025.03.19 |
---|---|
코스피 & 코스닥 차트 분석 - 2025.01.21 (0) | 2025.01.21 |
코스피 및 코스닥 기준 봉 분석 - 2024.09.22 (17) | 2024.09.22 |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하락 원인 - 2024.01.17 (0) | 2024.01.18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팔 전쟁)이 증시에 큰 영향이 없는 이유 (1) | 2023.10.13 |